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Europa Universalis IV/공략/서구권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국가 별 항목 상단에 개발자 코멘터리를 제외한 인용문 등재 금지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국가 별 항목 상단에 개발자 코멘터리를 제외한 인용문 등재 금지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키프로스/역사#s-2|키프로스 왕국]] === ||<-4><tablewidth=500px><bgcolor=#ffcc00> [[키프로스/역사#s-2|키프로스 왕국]] || ||<bgcolor=#ffcc66> 국기 || [[파일:external/www.eu4wiki.com/330px-Cyprus.png|width=200]] || ||<bgcolor=#ffcc66> 프로빈스 || [[파일:키프로스1.28.3.png|width=250]] || [[기 드 뤼지냥]]으로 유명한 뤼지냥 왕가의 통치하에 있는 OPM 국가. 예루살렘 왕국으로 변신할 수 있는 디시전을 가지고 있다. 기사단과는 달리 해안약탈이 불가능하지만 기사단보다 더 쉽다. 다만 필수 조건이 하나 있는데, 시작 시점에서 오스만의 군주 성향이 관리자인지 확인하고, 아니라면 미련없이 재시작을 해야한다.[* 외교적이거나 개척자 성향이면 더 좋겠지만 이쪽은 잘 안뜬다. 다만 개척자 성향은 확률이 0%인지 극히 낮은지는 확인이 필요하다.] 하술할 공략을 위해선 오스만의 독립지원이 필수적인데 높은 확률로 군국주의 성향 군주로 시작하는 오스만은 키프로스가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도 절대 독립지원을 해주지 않기 때문이다. 조건을 맞춘 후 시작하고나면 키프로스가 1458년 이후 섭정이나 여군주가 통치중일때 맘루크에 키프로스에 대사를 보내 속국화를 강요하는 이벤트가 뜨고, 맘루크의 선택 여부에 따라 키프로스가 속국화를 받아들이거나 거절하는 이벤트가 뜬다. 마침 키프로스는 스타팅 시점에서 1살짜리 공주가 후계자이므로 이벤트 조건을 맞추기가 매우 쉽다. 시작시점부터 팔레스타인과 이집트 해안에 클레임 작업을 해두고[* 십자국 국가 공용 미션의 초반 보상으로 팔레스타인과 시리아에 영클을 줄줄히 박아주니 이집트쪽에 클레임을 먼저 박아두면 소소하게 이득을 볼 수 있다.] 이벤트 체인을 통해 맘루크의 속국으로 들어간 후 오스만이 맘루크와 경쟁국이 걸리는 걸 이용해서 가능한 수단을 전부 동원해 오스만의 독립지원을 받아내고 바로 맘루크에 독립전쟁을 걸자. 막강한 오스만 병력이 맘루크를 알아서 털어주는 사이 색칠만 잘 해주면 독립과 동시에 예루살렘 디시전에 필요한 땅을 다 받아낼 수 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ome&no=217497&page=1|동영상 공략]] 이후로는 오스만과의 동맹을 유지하면서 기사단산 예루살렘을 굴리듯 이집트와 아라비아로 쭉 확장하여 국력을 키우면 되었으나 1.35 버전에선 이 공략이 독립까지 과정을 제외하면 상당수 무력화 되었다. 1.30 때 십자군 국가 미션트리를 쓰게 되었다. 이 미션트리를 쓰는 국가 중 문서가 따로 있는 나라에는 구호기사단이 있다. 즉, 미션이 지원하는 확장 방향은 구호기사단과 차이가 없다. 심지어 구호기사단으로 플레이하면 안티오키아 수복시 강력한 군사 관련 영구 모디파이어를 직접 얻을 수 있으나 키프로스로 하게 되면 이 버프를 변경국으로 들어오게 되는 구호기사단에게 줘서 키프로스는 별다른 혜택도 못받게 된다. 1.35 버전에서는 오스만 제국이 대대적으로 컨텐츠 개편 및 확장을 받으면서 AI 오스만의 사활적 이익 지대 지정 방식도 바뀌어서 상단의 공략은 거의 무력화 되었다. 거의라고 한 이유는 일단 오스만을 이용한 맘루크 뒤통수쳐서 땅 뜯고 독립하기 자체는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루살렘 왕국 형성에 필요한 예루살렘 프로빈스를 오스만 제국이 사활적 이익 지대로 박아버리는지라 독립 과정에서도 오스만이 예루살렘에 침바르지 못하게 먼저 땅따먹어야하는 귀찮음이 늘었고, 그렇게 독립하고 나면 즉시 오스만이 동맹을 파기해서 예전처럼 맘루크를 상대로 용병마냥 부려먹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예루살렘은 나중에 먹는다는 생각으로 오스만의 비위를 최대한 맞춘다고 한들 부려먹는건 불가능하다. 이익지대가 너무 겹치고 이후 오스만의 미션 진행에 따라서 높은 확률로 시리아에 영클이 줄줄히 박히는데다 설령 그렇게 되지 않더라도 보통 오스만의 동맹일 확률이 높은 아크 코윤루나 카라만같은 국가들이 키프로스에게 경쟁국을 박는 순간 매우 높은 확률로 오스만이 키프로스와 관계를 빠르게 끊어 버린다.] 때문에 이제는 첫 독립전쟁때 아예 오스만의 남하를 막는다는 생각으로 시리아 지역과 이집트 해안선을 따라 땅을 먹고, 동맹파기 후에는 오스만의 침공을 막기 위해 강력한 동맹을 구할 필요성이 생겼다. 추천되는 동맹은 스페인, 프랑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정도인데[* 또 다른 열강 후보인 오스트리아는 헝가리와 보헤미아, 부르고뉴 중 최소 두 개 국가를 온전히 동군연합한 수준이 아니라면 체급이 애매하게 모자라고 오스만의 유럽 진출방향에 인접해 있어서 먼저 때리는 경우가 잦다보니 괜히 오스트리아의 방어전에 빨려들어가 같이 망하는 함정카드에 가깝다.] 오스만과의 경쟁국 설정에 따라서 그때그때 접촉 가능한 우방이 달라진다. 스페인은 보통 맘루크에게 경쟁국을 박는 경우가 많아서 동맹을 할 기회를 잡을 수 있고, 프랑스는 안그래도 외교찐따(...)였던 국가가 1.35버전에서는 컨텐츠 개편을 빌미로 초반에 더 너프를 먹여서 왕자령 한두개 합병하고 외교칸 남으면 하트띄우고 기다릴 가능성이 높다. 폴리투의 경우엔 주의해야할게 플레이어를 제외한 동맹이 어줍잖은 신롬 소국들 뿐이라면 오스만이 때리는 경우가 있어서 체크가 필요하다. 그 외에는 가끔 티무르가 자폭하지 않고 건재한 상황에서 오스만에게 경쟁국을 박는 경우가 있는데, 카라 코윤루가 사이에 껴 있는 상황이라면 동맹을 맺어볼만하다. 하지만 오스만과 국경이 맞닿으면 인도 북부를 다 파먹은게 아닌 이상 얻어맞기 시작하니 그즈음엔 익절을 하는게 좋다. 요약하자면 오스만과 인접한 여느 중소국이 그렇듯 최소한 유럽 열강 둘 이상을 등 뒤에 업어둬야 이집트로 확장 중에 오스만에게 뒤통수를 맞을 확률을 낮출 수 있으므로 외교관을 바쁘게 돌리자. 독립 후 동맹도 구해서 오스만의 침공 확률도 낮췄다면 맘루크를 상대해야하는데, 맘루크의 경우엔 독립 전쟁에서 오스만이 나서서 크게 거덜내주기에 덩치만 큰 호구로 전락해 이후 상대가 어렵진 않다. 다만 플레이어가 독립하며 시리아 육로 봉쇄를 시작으로 해안선을 모조리 막는 것은 승점도 부족해서 불가능하고, 중동의 이슬람 국가들에게 너무 많은 ae가 누적되어 코올이 걸릴 수 있으므로 예루살렘 형성에 필요한 팔레스타인 지역과 오스만이 눈독들이는 시리아 위주로 먹는 선에서 멈추자. 이렇게 해도 몇몇 소국들에게 코올이 걸릴 수는 있지만 카스티야나 프랑스 등등 유럽 열강들과 동맹을 맺었다면 플레이어와 휴전이 끝난 후의 오스만이 코올에 가담하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도 당장 처벌전쟁에 걸리지는 않는다. 독립하며 먹은 영토에 코어를 박고 예루살렘을 형성하는 동안 ae가 높은 인근 국가들에게 외교관을 돌리며 코올을 막거나, 해체시키며 맘루크와의 휴전이 끝나길 기다리자. 보통 승점을 꽉 채워 휴전을 맺었다면 20년에 가까운 시간이 주어지니 ae를 녹이는게 그다지 어렵진 않을 것이다. 코올을 방지했거나 해체하는데 성공했다면 이제 맘루크와 휴전이 끝난 후 상황을 봐서 맘루크를 쳐야한다. 이때 단독으로 때려도 용병과 시리아의 요새를 이용해 재주껏 맘루크를 제압해볼 수도 있지만 플레이어도 피해가 커져서 오스만이 뒤를 노릴 수도 있다. 때문에 바로 전쟁을 걸지 말고 눈치껏 기다리다보면 오스만이 클레임이 닿는 맘루크의 해안 영토를 인식해서 선전포고를 날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이용해 좀 더 쉽게 맘루크를 제압하는 것도 추천할만하다. 오스만이 맘루크에게 선전포고를 날리면 키프로스도 동시에 선전포고를 해서[* 독립전쟁 평협으로 인해 오스만과 키프로스의 평협기간이 같으므로 어지간하면 문제는 없지만 아주 가끔 맘루크가 캅카스 소국들과 동맹을 맺거나, 독립보장을 박았다가 오스만에게 끌려가 얻어맞는 일도 있으니 이때는 새지구를 파던지, ae 안정화가 되었다면 휴전파기를 고려해야할 것이다.] 맘루크의 주력은 피하며 오스만보다 먼저 해안가 위주로 점령해버리고 휴전을 맺지 않고 시간을 끌면 오스만은 맘루크 상대로 신나게 용병역할만 하다가 땅 하나 못먹고 맘루크와 먼저 휴전을 맺어버린다. 여기까지 왔다면 이후 진행은 크게 어려울게 없다. 오스만과의 두 차례 전쟁으로 막장 상태에 빠진 맘루크를 정리해 독립 직후 미처 봉쇄하지 못했던 나머지 해안가 프로빈스를 모조리 틀어막아 오스만의 중동 진출을 차단하고, 상술했듯 유럽과의 동맹을 공고히 해 코올 형성과 오스만의 공격을 방지하며 맘루크를 천천히 소화시키면 된다. 맘루크까지 정리했다면 오스만을 제외하면 딱히 국력에서 위협될 국가들이 없을테니 아라비아 반도와 아프리카의 뿔 방향으로 거침없이 확장해서 체급을 키워 오스만과의 일전을 준비하면 된다. 키프로스의 이념은 상단의 공략대로 한다면 초반부 몇십년은 지루할 정도로 크게 할 일이 없기 때문에 첫 이념 선택이 꽤 자유롭다. 컨셉용 이념을 찍어도 상관없고, 초반에 찍어야 효과를 보지만 초반에 스노우볼 굴리기 힘들다는 이상한 역설로 인해 쉽게 손이 안가는 혁신을 찍어봐도 무방하다. 심지어 초반엔 군렙이 극히 중요해서 군사이념을 2~3번째로 미루는걸 역이용해서 군사이념을 찍어볼 수도 있다. 다만 상단의 공략에서 언급했듯 독립 및 초반 확장 과정에서 많은 ae를 누적하는 키프로스의 상황을 생각하면 ae 누적을 감소시키는 첩보 이념이나 관계개선 보너스와 많은 외교관으로 ae감소를 빨리 시킬 수 있는 외교 이념을 찍는게 역시 가장 무난하고 좋을 것이다. 또한 키프로스를 했다면 반드시 예루살렘으로 변하게 될 텐데 국가변환 후 십자군 국가라는 정부체제가 성전 명분을 주고, NI에 선교 관련 보너스가 많은데다 메카를 확보하면 추가 선교사도 얻을 수 있다보니 종교 이념을 초반에 찍을 필요는 없어서 행정같은 다른 고성능 이념을 먼저 찍는게 좋다. 다만 무제한 확장을 하게 되면 결국 인본과 종교 중 뭘 찍던 영토를 안정화하긴 해야하는데, 둘 중 하나만 고르자면 인본보다는 종교를 찍어서 선교사와 선교력을 더 뻥튀기해서 종교 찍은 비잔틴 못지 않은 세뇌빔으로 빠르게 영토를 안정화 하는게 편하다. 1.36 버전에서 고유유닛 스킨이 추가될 예정인데 초기 유닛 스킨이 상당히 호평을 받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